합병증
자궁근종의 이차변성
1) 원인
자궁근의 증대에 비해서 혈관의 발달이 미치지 못하여 혈액순환장애를 유발하거나 난포호르몬(estrogen)의 감소 또는 황체호르몬(progesterone)의 증가로 인하여 자궁근종이 이차적으로 변성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2) 종류
(1)초자성 변성(hyaline degeneration)
이차변성 중에서 제일 많으며, 거의 모든 근종에서 어느 정도의 변화는 볼 수 있습니다. 발생 기전은 근종 자체의 혈액 공급 장애로 발생하며 절개하면 소용돌이 형태는 사라지고 균일하게 보입니다.
(2) 낭포성 변성(cystic degeneration)
초자성 변성이 액화하여 투명액 또는 젤라틴 물질을 포함한 낭강을 만드는 것입니다.
(3) 석회화 변성(calcification)
폐경기 이후의 자궁근종, 특히 장막 하 근종이 혈액순환장애로 빈혈성 괴사가 형성된 후 인산칼슘, 탄산칼슘 등이 근종에 침착하여 돌같이 딱딱해진 것입니다.
(4) 감염과 화농(infection and suppuration)
점막 하 근종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변화로서, 근종이 자궁 내로 돌출하면서 자궁내막이 얇아져서 괴사되어 자궁경관으로부터 병원균이 접근하여 감염 후 화농성 병변을 일으킵니다.
(5) 괴사(necrosis)
혈액공급의 장애, 심한 감염 또는 육경성 근종이 꼬이면서 발생합니다. 괴사성 근종은 그 내부에서부터 검붉은 출혈성 색채를 띱니다. 심한 통증으로 급성 복부증(acute abdomen)의 진단 하에 응급개복수술을 요할 때가 있습니다.
(6) 지방변성(fatty degeneration)
매우 드물기는 하나 진행된 초자성 변성에서 발생될 수 있습니다.
(7) 육종성 변성(sarcomatous degeneration)
발생빈도는 낮으나 (0.1-0.6%) 근종이 갑자기 커지거나, 특히 폐경기 이후 자궁근종을 가지고 있던 여성이 자궁출혈을 동반하면 육종성 변성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위험요인 및 예방
자궁근종 위험과 관련된 요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자궁근종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
˚ 연령(40세 이상)
˚ 가족 중에 자궁근종이 있었던 가족력
˚ 임신경험이 없는 여성
˚ 비만한 여성
˚ 흑인
2) 자궁근종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요인
˚ 5회 이상 임신을 경험한 경우
˚ 폐경된 여성
˚ 장기간 피임약을 사용한 경우
대상별 맞춤 정보
자궁근종은 임신 시기에 따라 다음과 같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임신 전 : 불임위험 증가
임신 제1기 : 유산율 증가
임신 제2기 : 근종의 급격한 비대로 인한 동통, 압통, 발열, 적색변성
임신 제3기 : 조산, 태반조기박리증, 전치태반
분만 : 자궁무력증, 출혈, 산도의 기계적 폐쇄로 인한 난산
질식분만 후 : 이완성 자궁출혈, 산욕기 감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