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0
26

고혈압의 정의

고혈압은 동맥혈관내의 압력이 증가한 것을 말하며, 수축기혈압(높은 혈압, 첫번째 숫자)과 이완기혈압(낮은 혈압, 두번째 숫자)으로 표시됩니다.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의 차이를 맥압이라고 하는데, 이것 또한 건강 위험의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고혈압이라고 진단하려면 지속적으로 혈압이 높다는 사실이 확인되어야 합니다. 정상 혈압은 120/80mmHg 이며 수축기혈압이나 이완기혈압 중 한 가지만 높아도 고혈압에 해당됩니다. 병원 방문때에만 혈압이 올라가는 백의고혈압을 배제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혈압의 측정이 필요하며, 최근에는 가정에서 혈압을 재는 가정측정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고혈압은 왜 생길까요?

대부분의 고혈압 환자에서 뚜렷한 원인을 밝히기는 어려우며, 여러 가지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작용하리라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몇몇 연관된 염색체 및 교감신경계의 이상, 인슐린 저항성이나 당뇨병과의 연관성, 비만 등이 고혈압의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드물게는 신장질환이나 부신 종양이 고혈압이 원인인 경우가 있으며 스트레스, 과도한 업무, 알코올, 흡연, 카페인, 몇몇 약제 등이 혈압을 올릴 수 있습니다.

고혈압은 어떤 증상이 있나요?

고혈압은 증상이 대개 없습니다. 따라서 “조용한 살인자”라고 불리기도 했습니다. 약 1% 미만의 환자에서는 급격한 혈압 상승으로 이완기혈압(낮은혈압)이 130mmHg 이상 올라가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메스꺼움, 구토, 두통, 시력저하 및 의식의 감소가 올 수 있으며 응급 치료가 필요합니다.
고혈압은 시간이 지나면서 혈관 벽을 약하게 만들어 뇌, 심장, 신장, 눈으로 가는 혈관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중풍, 치매, 협심증, 심근경색, 심장비대, 심실수축능력의 감소, 신장 기능의 감소, 망막질환, 성기능저하, 골밀도 저하 등 여러 가지 합병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고혈압의 치료

고혈압은 반드시 치료해야 하며 지속적인 조절이 필요한 질환입니다. 생활습관의 개선과 약물치료가 필요하며, 약물은 의료진과의 상담 후에 투여 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고혈압 환자의 7가지 생활 수칙

① 음식을 싱겁게 먹습니다.
② 정상 체중을 유지합니다.
③ 매일 30분 이상 운동을 합니다.
④ 알코올 섭취를 제한합니다.
⑤ 저지방식을 하시고, 채소와 과일의 섭취를 충분히 먹습니다.
⑥ 스트레스를 피하고 평온한 마음을 유지합니다.
⑦ 정기적인 혈압 측정과 의사진찰을 받습니다.

회신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